빨래에서 냄새 난다면? 세탁기 관리 이거 놓치지 마세요
세탁기에서 올라오는 퀴퀴한 냄새, 원인과 해결법이 따로 있습니다. 직접 실천 중인 관리법으로 세탁기 냄새를 완전히 없애는 방법을 소개합니다.
처음엔 분명 새 세탁기 특유의 깔끔한 냄새가 났었죠. 그런데 어느 날부터인가 세탁기 문을 열 때마다 쿰쿰한 냄새가 나기 시작했어요. 세탁 후에도 빨래에서 이상한 냄새가 날 정도라 “이거 고장인가?” 싶었는데요.
고장이 아니라 ‘관리 부족’이 원인이었습니다.
오늘은 제가 3년째 직접 실천하고 있는 세탁기 냄새 제거 & 예방 관리법을 하나하나 자세히 공유드릴게요.
1️⃣ 세탁 후, 세탁기 문과 세제통은 반드시 열어두세요
세탁이 끝나면 세탁기 내부에 수분이 남아 있어 곰팡이와 냄새가 쉽게 발생해요.
특히 드럼세탁기는 밀폐 구조라 더 심하죠.
✔ 실천 팁
-
세탁기 문과 세제 투입구 모두 활짝 열기
-
하루 정도 열어두면 내부가 자연 건조돼 냄새 차단
-
특히 여름엔 더 철저히, 습한 날은 제습기 근처에 두기도 좋아요
2️⃣ 한 달에 한 번, 빈 세탁기에 뜨거운 물+구연산 세척
세탁기 전용 세정제를 써도 좋지만, 저는 좀 더 자연친화적인 방법을 써요.
구연산 100g + 뜨거운 물 세탁 코스로 빈 세탁기를 돌리면 세탁조 내부 찌든 냄새를 잡아줍니다.
3️⃣ 고무패킹 안쪽 청소는 ‘칫솔 + 식초’
드럼세탁기 고무패킹 안쪽은 특히 곰팡이와 찌꺼기가 잘 껴요.
한 번은 오래 방치했다가 까맣게 변한 걸 보고 정말 놀랐어요.
✔ 간단한 방법
-
묽은 식초를 칫솔에 묻혀 고무패킹 틈새 살살 문지르기
-
면봉이나 키친타월로 잔여물 닦아내기
-
마무리는 마른 천으로 꼼꼼히 건조시키기
4️⃣ 배수필터도 2~3개월에 한 번은 꼭 확인하세요
배수필터에 머리카락, 먼지, 물때 등이 끼면
배수 불량 → 세탁물에 찌든 냄새 → 결국 세탁기 전체에 악취
라는 악순환이 시작됩니다.
제가 무심코 넘겼다가 필터 열자마자 지독한 물 비린내를 맡은 경험이 있어요.
그 뒤론 2달에 한 번 꼭 열어봅니다.
✔ 팁: 고무장갑, 바가지 준비 후 물 빠질 공간 확보하고 필터 열어야 해요.
5️⃣ 세탁기 전용 세제와 세탁량 ‘적정’ 유지
과도한 세제 사용도 냄새 원인입니다.
거품이 남아있으면 오히려 곰팡이, 세제찌꺼기, 냄새 유발 가능성이 커요.
✔ 생활 팁
-
세탁량은 70~80%만 넣기
-
드럼세탁기는 전용 세제를 정량 사용
-
헹굼 2회로 설정해 잔여 세제 확실히 제거
마치며…
냄새 나는 세탁기는 우리 옷에까지 영향을 미쳐요.
처음엔 복잡해 보이지만, 세탁 후 문 열기 → 주기적 세척 → 틈새 청소 이 3가지만 실천해도
세탁기에서 냄새가 날 일이 정말 줄어듭니다.
저는 이 방법으로 3년째 한 번도 악취 없이 세탁기 잘 쓰고 있고,
이제는 가족도 저만 믿고 “빨래는 너가 해!” 하고 맡길 정도예요. 😅
혹시 세탁기에서 냄새 난다면, 꼭 위 내용 중 하나라도 바로 실천해보세요.
달라진 세탁기 냄새에 깜짝 놀라실 거예요!
댓글
댓글 쓰기